프로그램 명 | 밝은상자 Light Box |
---|---|
프로그램주제 및 키워드 | ㅇ주제: 개인의 예술표현을 모색함에 미적 사고의 이행자로서, 현실의 미세한 관찰과 추억된 앨범의 사진을 모티프하여 창작활동과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
키워드: 사진, 창작, 모티프, 기억, 촬영 | |
활동 장소 (지역)설명 | ㅇ주소: 서울특별시 지하철 4호선 |
ㅇ설명: 지하철을 타고 1시간 정도면 서울의 상징적인 지역의 공원과 궁, 랜드마크를 찾아가기가 쉽다. 이동에 대한 거리감이나 비용 면에 부담이 적고, 사진은 걸어 다니면서 촬영하기 때문에 지역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다. | |
대상 | ㅇ 총 15명 |
미디어, 디지털의 응용을 통해서 자신의 창의적 영감을 스스로 존중하며 과감하게 미적 역량을 발휘하는 것에 생각을 둔 시니어 대상 | |
활용 미디어 | □ 시각: 스마트 폰 – 디지털 카메라 – 태블릿 pc – 노트북, 프린터 |
하드웨어: 핸드폰(촬영), 디지털 카메라(촬영), 태플릿pc(이미지 편집), 노트북(이미지 관리 및 편집), 프린터(인화) 소프트웨어: 포토샵 익스프레스(이미지 편집) | |
※ 미디어 선택 사유 및 활용 미디어 소개 | |
촬영/ 이미지관리 및 편집-인화의 과정으로 구성된 커리큘럼에 맞게 하드웨어를 선택소프트웨어/ 포토샵 | |
기획 | |
개발 | ㅇ 추진기간: 6월 14일~7월 30일 |
ㅇ 주요내용: 프로그램 내용 구성에 따른 디지털 교육공간, 컴퓨터, 기자재관리 | |
참여자모집, 줌 프로그램 선행학습, 현장답사, 온라인 홍보, 연계기관 | |
창작활동 추진계획 | ㅇ 추진기간: 8월 2일 ~ 11월 1일 (총 15회차) |
[I. 사전활동 단계] 미디어 이해 및 교육 계획 ㅇ 사전활동 주제: 원활한 기자재 활용과 랩실 사용을 위한 디지털 시스템, 이론 이해 프로젝트 기획 및 적용-디지털 랩 교육실 프로그램 이론, 실기, 응용 [II. 창작활동 단계] 미디어 활용 문화예술교육 창작 계획 ㅇ 작품 활동을 하기 위한 디지털 환경의 다양한 매체 응용과 직접적인 기자재 활용을 통해 미적감성을 표현한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식을 통해 제작의 완성도를 높인다. 일 시: 8월 2일 – 11월 1일/ 10시 - 13시 (15회) (매주 화요일) (3시간, 현장학습 5시간) 프로그램 형식: 비대면, 대면, 현장 4, 미술관 관람, 프린트 랩, 스튜디오촬영 프로그램 내용: 이론, 실기, 후반작업, 스토리텔링, 인물, 풍경, 연출, 매트제작 | | 과정 기록 및 아카이빙계획 | ㅇ 추진기간: 11월 2일~12월 30일 ㅇ 창작이미지, 프로그램 교육일정촬영 ① 프로그램 기획·개발 과정 기록/프로그램 내용, 활동사진, 영상 ② 브로셔, 홈페이지, 아카이브 북 | | 참여인력구성 | ㅇ 총 6명
인터뷰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