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_아트프리즘_우리를 연결하는 모양_남지은.pdf

코로나 시대, 어떻게 예술을 향유하고 창작할 수 있을까

새해 첫 약속을 떠올려본다. 2020년 1월 10일 종로구 혜화동에 자리한 작은 서점에서였다. 스무 명 남짓한 관객을 모시고 그림책 작가와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림책 작가와 나는 두세 뼘 떨어져 앉아 눈을 맞췄고, 관객들은 상자에 든 귤처럼 옹기종기 붙어 앉았다. 듣고 말하고 다시 귀 기울이는 동안에 우린 나눠 받은 따뜻한 귤피차를 호호 불어 마셨다. 그날의 장면을 여기서 차근차근 떠올리는 까닭은 1년도 채 안 되었지만 그때의 행위와 감각이 벌써 생경해서 그렇다. 많은 숫자의 사람들과 지근거리에 앉은 것도, 마스크 없이 서로의 표정을 살피며 대화 나눈 것도, 향과 온기를 즐기며 귤피차를 한 모금씩 천천히 마시던 것도 어쩐지 아주 오래된 이야기처럼 들린다.

2020년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한 해를 모조리 날린 기분이 든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그림책 강연과 독서모임 등을 본격적으로 가질 예정이었지만 무산되었다. 어린이들과의 글쓰기 수업도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에 따라 조심스레 이어오다가 지난 12월부터 무기한으로 연기한 실정이다. 언제까지일까. 내가 좋아하는 것을 더 많은 사람과 나누고 소통하고 성장하는 기회와 시간을 만들고 싶을 뿐인데 까마득한 일이다. 과연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이 들었고 막연했고 두려웠다. 코로나 시대에 문학을 향유하고 창작하는 일을 어떻게 해 나갈 수 있을지 말이다. 대학이나 예고에서 문예창작 강의를 하는 친구들은 비대면 강의 준비 및 진행에 따르는 피로감을 호소했다. 비대면 환경에 맞춘 커리큘럼이 아니다 보니 방법적으로나 내용적으로 대면일 때보다 연구와 준비가 배로 필요하다고 했다. 강의를 듣는 학생들과 신뢰감을 쌓는 일도 만만치 않고 호응을 이끌어 내는 건 정말 어려운 듯했다. 어쨌든 주어진 학기 안에 커리큘럼을 소화해야 하니 마음과는 달리 주입식 강의가 되어 가 안타깝다는 의견도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 지역 도서관 사서, 서점 운영자 등 문학을 매개로 아이들을 만나는 이들이나 예술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꾸리는 이들에게도 비대면 상황을 어떻게 뚫고 나가는지 물었다. 공통적으로는 초반에 비대면 수업을 위한 기술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했고 온라인 강연 진행에 익숙해지는 데도 시간이 꽤 걸렸다고 말했다. 학교나 기관에 속하지 않고 나처럼 바깥에서 예술창작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예술가들도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지 않을까. 각개전투 중인 예술가들에게는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보 공유나 지원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더욱 막막하고 헤매는 마음이지 않을까. 하긴 각종 촬영 기기나 인터넷 환경이 문제없이 마련된다고 해도, 우리에게 남겨진 질문은 많다.


<우리를 연결하는 모양>이 들려주는 대답 ― 참여 예술가 이현우, 김민수 인터뷰

<aside> ❓ 비대면 상황에서 사람들을, 특히 아이들을 어떤 방식으로 만날 수 있을까 고민하던 찰나에 <우리를 연결하는 모양>을 만나게 되어 반가운 마음입니다.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 가졌던 고민이나 문제의식은 무엇이었는지 공유해 주세요.

</aside>

<aside> 🔊 이현우 : 두려움이 있었어요. 아이들과의 수업은 ‘교감’이 가장 중요하고 ‘이해’와 ‘설득’이 필요해요. 그게 비대면으로 얼마나 가능할지 막연했어요.

</aside>

<aside> 🔊 김민수 : 대면 수업을 해 보면 아이들마다 반응이 다르고 예상치 못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요. 비대면 수업은 학생들 반응이나 각종 기기 등에 문제가 생길 때를 대비하거나 예상할 수 없으니 고민과 걱정이 많았어요. 그런 고민은 수업 내용에 연결됐어요. 서로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하는 게임이 있듯이, 놀이처럼 수업을 진행하면 어떨까 생각했고 ‘스무고개 드로잉’ 활동 등 재미난 기획을 했어요. 또 학생들이 혼자서도 재미있어 할 만한 키트를 만들면 수업에서도 집중할 거라는 생각으로 키트 제작에 힘썼어요. 어차피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니 더 많이 준비하고 힘을 쏟아 붓자는 마음이었습니다.

</aside>

<aside> ❓ <우리를 연결하는 모양>을 이끄는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열 명의 어린이 참여자들인데요. 아이들을 염두에 둔 기획 내용과 실제 아이들 반응에 차이가 있었나요?

</aside>

<aside> 🔊 이현우 : 비대면 수업이라서 집중하지 못할까 봐 걱정했는데 우려와는 달리 잘 따라주었어요. 또, 수업에서 얼굴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나눴는데 아이들이 예민하게 느끼고 상처받을 수도 있으니, 먼저 선생님의 얼굴을 소재로 위트 있게 표현했어요. 그 뒤 아이들도 서로 상처되는 말을 하지 않고 잘해주었습니다.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