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 : 초등자녀를 둔 직장인 어머니
- 방식 : 온라인 오프라인 블렌디드
- 내용 : 영화 교육 연구 및 단편 영화 제작
|  | 일시 | 회차명 | 주요내용 및 방식 | 참여자수 | 
| 1 | 8월 | 오리엔테이션 | 1) 프로그램 소개와 자기소개 |  | 
- 영화교육의 이해
- 동답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영화교육의 내용과 진행 목표 안내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2 | 8월 | 영상제작의 이해 | 1) 영화 제작과정의 이해
- 영화 제작 과정 중 역할을 알아보고, 관련
직업군 대해 알아본다.
- 동답초등학교 제작 작품을 소개하고 촬영 비하인드 이야기를 나눈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3 | 8월 | 그룹1 : 영화 기획
그룹2 : 영화 연기 | 그룹1 - 영화 기획
- 특강강사(영화교육가, 영화기획자)를 통해
영화 기획방식과 한국 영화제작에 관련된 이야기를  알아본다.
그룹2 - 영화 연기
- 특강강사(영화배우)를 통해 영화 연기와 한국영화 제작에 관련된 이야기를 알아본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4 | 8월 | 시나리오 이해 | 1) 시나리오 형식과 작법을 알아본다.
- 영화제작을 위한 시나리오를 써본다.
- 소그룹 운영을 통해 팀을 나누어 시나리오를 쓰는 시간을 갖는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5 | 9월 | 스토리보드의 이해 | 1) 화면구성법의 이해
- 작성된 시나리오를 가지고 스토리보드를 그려본다.
- 작성된 시나리오를 토대로 강사들이 제작한 스토리보드를 비교분석한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6 | 9월 | 영화 촬영 실습 1 | 1) 시나리오를 읽고 매체 연기를 연습한다.
- 시나리오 내용 중 줌 화면 녹화부분을 촬영한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7 | 10월 | 편집의 이해 | 1) 편집 기초 이론을 알아본다
- 편집 프로그램을 알아본다
- 핸드폰 편집 어플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시연한다.
- 6차시 촬영 영상으로 다양한 편집 시연을 한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8 | 10월 | 영화 촬영 회의 | 1) 개인 촬영 영상 부분의 촬영 방법을 알아본다.
- 소그룹으로 개인촬영 관련 논의 및 스터디를 진행한다.
- 개인 촬영 스토리보드를 준비하여 촬영을 돕는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9 | 10월 | 영화 촬영 실습 2 | 1) 개인 촬영 부분을 진행하면서 대면으로 강의가 필요하면 진행하도록 한다.
- 오프라인 만남을 통해 영화 촬영을 한다.
- 개인 촬영이 대면 진행 없이 가능하다면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10 | 10월 | 편집 실습 | 1) 개인 촬영 영상을 함께 보고 편집 논의를 한다.
- 소그룹으로 편집을 진행하고 함께 평가하는 시간을 갖는다.
- 필요하다면 추가 촬영을 진행한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
| 11 | 11월 | 작품 전시
및 결과 발표회 | 1) 프로그램 활동과 작품을 소개하고 전시 및 상영하는 시간을 갖는다.
- 가족을 초대하여 작품을 소개하고 GV시간을 갖는다. | 12명
(1기수당 6명씩 2그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