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act lab-025.jpg

✅  제 목 : 2022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접촉을 위한 매개자들의 실험실 「아르택트 랩, Artact-lab」 결과공유 & 네트워크 파티

✅  일 시 : 2022년 12월 2일(금) 14시~17시

✅  장 소 : 대원뮤지엄 전시공간(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재)

✅  방 식 : 오프라인(해외/원거리 접속자를 위한 Gather Town 송출 소규모 추진)

✅  참여자 : 아르택트랩 사업 관계자 30여명

✅  내 용 : 팀별 전시, 사업 및 참석자 소개, 팀별 발표, 키워드별 토론, 공연, 이상한 시상식

| 14:00~14:10 | 10’ | - 팀별 전시 감상

<aside> 🔈 초대장이 발송되었습니다. ㅡ 2022. 11. 25

연구원 J 에게서 초대장이 도착하였습니다.

</aside>

세부내용

1) 전시

2) 참여단체 발표 (11개팀/100분)

단체명 주요내용
꽃다발
맘맘이야 ㅇ학부모 대상 영화 교육 프로그램 연구를 통한 온라인 수업 진행 및 최종 작품 상영
ㅇ온라인/오프라인 블렌디드 수업이 가능하도록, 영화 제작 교재와 영상을 제작하여 보급
ㅇ최종상영회를 통해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짐
시간과 방의 실험실
공간 너머 ㅇ전혀 모르는 낯선 청소년이 모여서 진행자의 멘트에 따라 1시간동안 서로의 공간을 상상하면서 시공간을 초월하여 비대면으로 놀이를 진행함
ㅇ고등학생의 빡빡한 일상에서 숨을 쉴 수 있는 시간이었고 오롯이 스스로를 돌아보며 타인의 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는 참여자 후기가 있었음
공터
두근두근 마이비트 ㅇ`21년에 개발한 3개 프로그램 모두 실행(마이비트, 마이비트 온, 마이비트 런)
ㅇ예술의발전을 위해 기술을 활용하는데 기술이 너무 어려워 예술가가 기술을 익히고 활용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강화시켜야 했으며, 2년차에 익숙함을 느끼게 됨
ㅇ만들어진 결과물 내용은 온라인(좀더 개인적) 오프라인(보여지는 식)의 차이를 관찰함
ㅇ융합수업은 예술 기술 각각의 분야에서 서로 대화하고 자신의 사고를 확장시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음
ㅇ비대면 - 데이터를 통해 디지털 감각을 찾아보는 수업
놀플러스
판소리 노마드 ㅇ게임이 문화예술교육이 될 수 있을까? 라는 팀내 고민을 가지고 있었음
ㅇ심청이라는 캐릭터를 스토리텔링하여 다양한 심청이의 결말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들었음
ㅇ개발중인 게임은 12월 중에 공유 가능함
**움직이는 세상**
Noise : 불확실한 산책길 ㅇ작년 개발단계에서 발전시켜서 올해 실험을 하게 됨
ㅇ21년에는 비대면 상황이 많아서 예술교육 안에서의 접촉은 무엇인가
ㅇ참여자들이 불확실함 때문에 자신의 관점이 확장된 것 같다는 작년의 후기를 토대로, 대상을 좁혀보고 참여자가 웹 아카이빙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함
ㅇ’불확실함’의 정의는 모호하기 때문에 체크리스트를 통해 모집 하게 됨
ㅇ대상을 좁힌 것 때문인지 작년에 비해 자신에 대해 집중하는 경향이 보임
EEDA
생활예술, 쓰레기로 읽고 쓰다 ㅇ코로나 이후 주변에 쓰레기가 많고, 부산 외 다른 지역에서도 쓰레기 줍기 활동들을 발견함. 이를 통해 참여자 중심의 쓰레기 자원 지도 맵을 만들게 됨
ㅇ참여자의 동기부여와 지속적 참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함
ㅇ탐방활동 – 캘리그라피 및 영상작업 – ‘앱인벤터’활용 데이터 업로드 및 지도 만들기 추진
[유한주식회사
대안문화행동 재미난 복수](https://mannanda.notion.site/2755c1488c2940c0978247dcaf408640)
마인크래프트를 통해 우리동네,
놀이터 만들기 ㅇ기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변형한 프로그램
ㅇ마인크래프트는 놀이터와 놀이규칙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면서, 아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선택
ㅇ게임에서 단순 교육방법론을 적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게임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해서 선생님의 역할을 줄여보고자 하여 70여명의 NPC를 활용한 안내 및 진행, 매개자들이 시스템을 통해 명령어를 임력할 수 있도록 매뉴얼 정리
[주식회사
원바이원 스튜디오](https://mannanda.notion.site/d3e371c698cd40c0acc93b6e8cfeab49)
Voxelated AR ㅇ유망한 분야의 프로그램 중 하나인 VOXEL을 쉬운 난이도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
ㅇ5명의 참여자와 55개의 작업을 만들어내었으며, 만들어낸 voxel을 통해 어떻게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을지 고민하였음
ㅇ우리나라에서는 메타버스를 예술의 플랫폼으로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그렇기 때문에 완성도 보다는 경험을 주려고 하였으며 web3.0의 개념을 쉐어포인트로 가져옴
ㅇ모든툴(디스코드, 샌드박스, 휴대폰, 노션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매체로 만들 수 있도록하였으며, 샌드박스(메타버스) 안에 NPC를 심어놓아서 방안에 초대된 사람들에게 이들이 경험했던 내용들을 설명할 할 수 있도록 앱을 구성함
예술융합연구소 새론
VR 낀 쉐익스피어 ㅇVR기기와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하여 뮤지컬 교육 진행
ㅇ프로그램 종료 이후 참여자들이 별도로 장소 섭외하여 본 프로젝트에서 학습한 내용을 극으로 상영하며 후속 활동까지도 진행하였음
늘해랑
학교 밖 청소년 부캐 만들기 프로젝트 : 나가 안 놀면 뭐하니? ㅇ학업중단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부캐릭터 생성·활용하여 라디오드라마 형태로 진행
ㅇ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틍정 언어나 단어, 어휘 등을 점검하며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음
ㅇ아이들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끌어내기 위해서 어떤 어른이 되고 싶은지 지문하고, 부캐릭터를 설정하여 게임캐릭터의 능력치(스코어)로 설정, 부캐릭터 스토리텔링을 하고 3라운드의 게임을 제작
GXD 익스트림 스튜디오
메타버스 1교시 : 우리동네 마술학교 ㅇ메타버스 1교시 우리동네 마술학교 웹페이지 구축
ㅇ게더타운 플랫폼 구성 공간 체험하며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맵 시연함